모바일 메뉴 닫기
 

국제개발평화 전공트랙

국제법과국제기구 (International Law and Organizations)
이 과목은 국제법의 주요 원리와 내용을 소개하고 아울러 국제법의 제도화 측면에서 국제연합과 세계무역기구 등의 국제기구를 개관한다. 특히 조약과 관습법의 형성, 정책적 영향, 국제기구, 국가, 다국적 기업, 국제NGO 등의 상호작용과 역할, 국제 분쟁해결의 제도와 법 등을 고찰한다.
통일·북한의문화적이해 (Locality of National Reunification)
진영 논리에서 벗어나 북한 내 또는 북한에 인접한 구체적인 분단과 통일의 공간을 소재로 살펴봄으로써 통일과 북한 문제를 사실에 근거해 이해해보고자 한다.
정치경제와정치문화 (The United Nations and International Society)
현대 국제정치에서 국제기구의 역할은 점점 중요해진다.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아 민족 국가의 주권에 상당한 변화가 오고 있는 현실에서 국가간 기구 뿐 아니라 비국가 기구들의 역할도 매우 중요해졌다. 이러한 국제기구들의 역할은 구체적으로 어떠하며, 또 그러한 역할이 어떤 행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공부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적이다. 특히 국제연합(UN)은 대한민국의 수립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고, 국제 평화 유지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이런 점에서 유엔은 다른 어떤 기구보다 한국의 안보와 국제 관계에서 가지는 의미가 크다. 따라서 유엔의 구성은 어떠하며 어떤 과정과 절차를 거쳐서 정책 결정이 이루어지며, 그것이 국제 평화와 한국의 국가 이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공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쟁점들은 유엔 아닌 다른 중요 국제기구들에 대해서도 다루어질 것이다.
국제정치의이해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이 과목은 국제관계 분야를 개론 수준에서 소개한다. 이 과목은 세계정치의 주요 행위자, 쟁점, 개념, 과정, 패턴 그리고 역사적 사건들을 살펴본다. 또한 이 과목은 한국과 주요국의 외교정책, 국제정치경제, 전쟁과 평화의 원인, 안전보장, 국내정치와 국제정치의 연계, 정치적 리더십, 통상, 기술, 국제커뮤니케이션 등의 주제를 탐구한다.
북한의정치외교 (North Korean Politics and Diplomacy)
아시아 및 세계적 차원에서 G2로 부상한 중국의 정치와 외교를 연구한다.
동아시아의분쟁,협상,미래 (Conflicts, Negotiation, and the Future in East Asia)
동아시아 안보, 영토분쟁, 역사갈등, 통상분쟁, 공동체 구상 등에 중점을 두면서 국제협상을 연구한다.
DMZ평화답사 (Exploring the DMZ)
실존하는 비무장지대를 직간접적으로 살펴보면서 전쟁, 평화 안보, 통일, 분단, 생태, 개발, 관광 등 여러 굵직한 주제에 대해 성찰한다.
경제외교와개발협력 (Economic Diplomacy and Development Assistance)
이 과목은 세계정치와 세계경제의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이 과목에서는 세계정치경제의 시각과 이론들, 국제통화, 금융, 통상, 투자 등의 주요 이슈 영역을 살펴본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관세장벽/비관세장벽이 나라마다 다른 이유, 자유무역과 보호무역간의 논쟁, 달러화의 환율변동의 메카니즘, 세계화 현상과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제원조의 역할, 자본의 국제적 이동의 원인과 결과, 국제협력과 갈등의 요인, 국가와 국제제도의 역할 등의 주제를 탐구한다.
한반도의평화론 (Issues of Peace and Human Rights on the Korean Peninula)
이 과목에서는 먼저 북한의 정치체제의 본질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 북한의 인권 문제를 깊이 주목하는 가운데, '전체주의'의 개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시각을 포함하여 전후에서 오늘에 이르는 북한 정치질서의 기본성격에 대한 비교와 사회정치적 탐구를 시도한다. 아울러 북한의 핵무기개발과 그로 인한 국제사회와의 긴장, 특히 북미관계의 전개를 분석하며, 북한과 중국의 관계 또한 주목한다. 궁극적으로 북한 정치의 내적 변화와 한반도 비핵화를 추동할 수 있는 정치 외교적 해법 모색을 염두에 둔 북한의 대외정책 분석을 시도한다.
동아시아국제질서론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20세기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의 구조를 분석하고, 21세기 동아시아 질서를 전망한다.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한국전쟁 및 배트남 전쟁 등 20세기 동아시아 질서에서의 주요 전쟁들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21세기 동아시아에서의 평화의 비전을 탐구한다. 전쟁과 갈등을 넘어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과 비전을 토론한다.
일본의정치외교와한일관계 (Politics and Diplomacy of Japan and Korea-Japan Relations)
중국과 함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한 축을 구성하고 있는 일본의 정치와 외교의 본질과 현상에 대해 탐구한다. 아울러 전후 한일관계의 형성, 발전, 갈등, 협력의 국내정치와 외교, 그리고 한일관계가 가지는 동아시아 국제질서 차원의 의미를 분석한다.
현대중국정치의정신사 (Intellectual History of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
공산주의 혁명 이후 현대 중국의 정치사회적 역정을 사건사(事件史)적 관점이 아닌 정신사(精神史)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중국 내면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모색한다.
역사속의전략 (On Strategies)
인터넷에서 잘 검색되지 않는 전략적 사고를 드러내고자 한다. 동서고금의 여러 파편적인 세상사를 전략적 키워드로 묶어 깊은 통찰을 제공하려 한다.
제국과동아시아 (Empires and East Asia)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중엽에 이르는 약 1세기의 근대 한국을 동아시아적인 맥락과 함께 총체적으로 조망해보는 시간입니다.이 시대를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이며, 또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것인가. 그 시대에 대해 우리가 알고 기억해야 할 것은 무엇이며, 또 왜 기억해야 하는가.그 시대를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은 21세기의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등 질문들을 던지고 나름대로 답해 찾아보기 위한 수업입니다.
한중일관계의협력,경쟁,갈등 (Cooperation, Competition, and Conflict of the Triangular relation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한중일 경제관계, 북핵문제, 중일세력경쟁, 역사문제, 영토문제 등을 둘러싼 한중일 삼국의 협력, 경쟁, 갈등의 전개과정과 그 국제정치적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한중일 삼국관계의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한국, 중국, 일본을 주축으로 하는 동아시아의 미래가 갈등과 협력의 어느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지를 탐구한다.
일본의정치외교와한일관계 (Politics and Diplomacy of Japan and Korea-Japan Relations)
현대 일본의 정치외교적 과제, 변화, 주요국가와의 외교관계, 동아시아 외교전략 등을 분석한다. 특히 최근의 일본 정치의 보수화와 보통국가화, 해석개헌 등의 배경과 전망, 집단적 자위권, 역사갈등, 영토분쟁 그리고 한일관계, 북일관계, 중일관계 등을 살펴본다.